반응형

파이썬 for 6

[T-SUM] 7주차 자료 - Data Structure(List, Tuple, Dictionary), For 반복문

오늘의 내용 미리보기 본문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의 자료구조에 대해서 배워봅시다. 파이썬에는 3가지 자료 구조가 존재합니다. 1. 리스트 2. 튜플 3. 딕셔너리 오늘은 이 세 가지를 배워보고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 그전에 'Method'부터 알고 넘어갑시다. Method 메소드는 데이터 뒤에 결합된 function을 뜻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던 print와 같이 함수지만 어떤 데이터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볼까요? upper() 메소드는 입력받은 문자열을 대문자로 반환해 줍니다. 다른 예시도 볼까요? captialize() 메소드는 입력받은 문자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반환합니다. 이런 식으로 어떤 자료형과 엮여있는 함수를 우리는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간단하게 살펴봤..

T-SUM 멘토링 2023.07.20

[파이썬, Python] 백준 8598: OX퀴즈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8958 8958번: OX퀴즈 "OOXXOXXOOO"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10번 문제의 점수 www.acmicpc.net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N): OX_list = list(input()) score = 0 totalscore = 0 for OX in OX_list: if OX == 'O': score += 1 totalscore += score else: score = 0 print(totalscore) 설명 우선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N을 통..

[파이썬, Python] 백준 5597: 과제 안 내신 분..?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5597 5597번: 과제 안 내신 분..? X대학 M교수님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맡고 있다. 교실엔 학생이 30명이 있는데, 학생 명부엔 각 학생별로 1번부터 30번까지 출석번호가 붙어 있다. 교수님이 내준 특별과제를 28명이 제출했는데, www.acmicpc.net 코드 num_list = [] for _ in range(28): num_list.append(int(input())) for i in range(1, 31): if i not in num_list: print(i) 설명 딱히 어려운 것은 없는 반복문 문제였다. 출석 번호를 입력 받고, 없는 숫자를 찾아서 출력해주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다. 30명중에 28명이 제출했으므로, 28개..

[파이썬, Python] 백준 2438: 별 찍기 -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38 2438번: 별 찍기 - 1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www.acmicpc.net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print("*" * i) 설명 모든 언어의 반복문을 연습하기 가장 적합한 별 찍기 연습 시간이다. 다른 언어의 경우 이중 반복문으로 작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파이썬은 간단하게 한 줄의 반복문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우선 반복할 횟수인 N을 입력받고, 반복문을 실행해준다. 이 때, N의 횟수만큼 진행하려면 반복문의 종료지점은 N+1이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별의 개수가 회차가 진행함에 따라 늘어나는데 이는 (출력..

[파이썬, Python] 백준 10590: A+B - 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950 10950번: A+B - 3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코드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설명 앞서 반복문을 이해했다면 크게 어려움은 없는 문제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반복문의 횟수를 변수를 통해 지정해 주었다는 것인데, (1,10) 과 같이 시작 지점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면, 위의 코드와 같은 형식에선 T의 수만큼 반복하게 된다. T의 수만큼 a,b를 입력받고 각 수를 더한 값을 출력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였다.

[파이썬, Python] 백준 2739: 구구단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739 2739번: 구구단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www.acmicpc.net 코드 inputNum = int(input()) for i in range(1, 10): print(inputNum, "*",i, "=", inputNum * i) 설명 반복문이 처음으로 나왔다. 우선 입력할 단의 수를 N으로 받아준다. 이후 반복할 부분을 정해주면 되는데, 출력하는 문장을 보면 (N * (1~9) = 정답)의 형식으로 되어있다. 반복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for와 in 이라는 문법을 알아야 한다. for는 반복문의 조건부분을 알려주는 문장이다. for 뒤에 조건문을 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