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 출력 5

[T-SUM] 2주차 자료 - Hello World! Hello Python!

오늘의 내용 미리보기 본문 우선 앞서 다운로드한 Jupyter Notebook을 실행합시다. 작업 표시줄 - 찾기 - Jupyer Notebook 검색 - 실행 그리고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폴더도 하나 만들어봅시다. 우측 상단에 버튼이 있어요. 그러면 중간에 폴더가 하나 짠하고 생깁니다. 이름을 바꿔줍시다. 폴더 옆에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왼쪽 위에 버튼이 생겨요. 원하는 폴더명으로 바꿔주고 폴더에 들어갑시다. 폴더에 들어가서 다시 New 버튼을 통해 파일을 하나 만듭시다. Python 3라고 되어있는 버튼을 눌러서 생성합시다. 첫 파이썬 파일을 생성했어요. '.ipynb' 라는 확장자는 Jupyter Notebook에서 사용하는 확장자 이름입니다. 보통 일반적인 파일은 '파일이름.py' 와 같이 py..

T-SUM 멘토링 2023.06.08

[파이썬, Python] 백준 10871: X보다 작은 수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1 10871번: X보다 작은 수 첫째 줄에 N과 X가 주어진다. (1 ≤ N, X ≤ 10,000) 둘째 줄에 수열 A를 이루는 정수 N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코드 N, X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A[i] < X: print(A[i], end=" ") 설명 차례대로 N, X를 입력받아준다. 이후 A를 리스트의 형태로 입력 받아준다. 리스트를 차례대로 X와 비교하며 출력을 해주어야 하므로, 반복문을 사용하..

[파이썬, Python] 백준 11022: A+B - 8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22 11022번: A+B - 8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A + B = C" 형식으로 출력한다. x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이고 1부터 시작하며, C는 A+B이다. www.acmicpc.net 코드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Case #%s: %d + %d = %d"%(i+1, a, b, a+b)) 설명 앞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크게 어려움은 없었을 것 같다! 출력 형식에 유의해서 출력하도록 하자

[파이썬, Python] 백준 11021: A+B - 7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21 11021번: A+B - 7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를 출력한 다음, A+B를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www.acmicpc.net 코드 T = int(input()) for i in range(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Case #%s: %d"%(i+1, a+b)) 설명 테스트 케이스 T를 입력받아 준다. 이후, T회 만큼 출력해야 하기에, 반복문을 통해 T회 만큼 반복시켜준다. 반복문 안에서 각각 a,b 를 입력받고 출력해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출력해오던 방식으로는 출력이 어렵다. 이를 위해서 다른 출력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출력..

[파이썬, Python] 백준 18108: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8108 18108번: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ICPC Bangkok Regional에 참가하기 위해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막 도착한 팀 레드시프트 일행은 눈을 믿을 수 없었다. 공항의 대형 스크린에 올해가 2562년이라고 적혀 있던 것이었다. 불교 국가인 태국 www.acmicpc.net 코드 year = int(input()) print(year - 543) 설명 코드 자체로는 어려움이 없다. 단순하게 계산만 잘 했다면 틀리지 않았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