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예제에 처음으로 입력이 등장하는 문제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00
1000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코드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우선 입력을 받기 위해서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예제 입력에 보면 입력이 2개가 공백을 기준으로 나뉘어서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split 함수도 사용한다.
위의 코드는 필자가 처음 문제를 풀 때 만들었던 코드다.
아마 대부분의 진짜 '초보'라면 이런 코드로 진행하지 않을까 싶다.
split 함수도 처음 맞닥뜨리고, 상당히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있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이는 현재 자주 사용하는 방식의 코드다.
map 함수는 각 입력에 동일한 타입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이렇게 두 단계로 진행했던 코드를 한 번에 해결이 가능하다.
설명
input 함수와 split 함수, 그리고 더 나아가 map 함수까지 알아볼 수 있는 문제다.
가장 기초적인 문제이며, 앞으로 백준 알고리즘을 풀어나가며 가장 자주 사용하는 형식의 입력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방식이니까 알아두는 것이 좋다.
반응형
'개발 연습장 > 백준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Python] 백준 1008: A/B (0) | 2022.10.19 |
---|---|
[파이썬, Python] 백준 10998: AxB (0) | 2022.10.18 |
[파이썬, Python] 백준 1001: A-B (0) | 2022.10.17 |
[파이썬, Python] 백준 10718: We love kriii (0) | 2022.10.14 |
[파이썬, Python] 백준 2557: Hello World! (0) | 2022.10.13 |